OUR : story after little ice age

권지현, 김형주, 설수안, 송지인, 최은숙, 민경영
무더운 여름 오픈한 전시 < OUR : story after little ice age >는 소빙하기라는 특정 시간대를 설정하면서 시작되었다. 근래 들리는 뉴스에는 전 세계가 매일 최고온도를 경신하고 있다며 뜨거워지는 지구를 걱정하지만, 고작 300년 전 지구는 모든 생명체가 생장을 멈추고 버티는 것으로 살아남아야 했던 소빙하기를 겪었다. 

* 아직 학계에서 완벽히 정착된 말은 아니지만, 소빙하기는 평균기온이 2-3도 떨어지는 등 추운 날씨가 지속되었던 17세기 기온저하 시기를 일컫는 말이다. 

고온만큼 저온도 생명을 가진 모든 존재에게 고통스럽다. 절멸의 위기 앞에서 모든 생명체들은 생존을 위한 극한의 투쟁을 시작한다. 그렇게 혹독한 시기를 살아남은 존재들은 모두 승리자다. 수천년을 버텨온 나무부터, 작디작은 씨앗에서 지금 여기에 새싹을 틔워낸 잎새까지, 모두 치열한 생의 흔적이다.

이번 전시는 는 살아남은 존재들 가운데 식물에 주목한다. 식물은 땅에 뿌리박고 변화하는 모든 조건들을 묵묵히 받아내며 버티어 살아간다. 어떠한 위험 상황에서도, 이미 예견된 위기라 할지라도 도망칠 수 없는 식물의 역사를 누군가 기록한다면 고난과 역경의 연속일 것이다. 어떤 이는 식물은 ‘죽은 듯’ 버티며 소극적인 방식으로 산다고만 말할지 모른다. 하지만 그들은 살아남았다.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묵묵히, 주어진 모든 조건들을 받아들이고자신의 시간을 ‘그냥 그렇게 살아가는(自然)’ 식물들. 그들에 대해 들려주는 작가들의 이야기들이 에서 펼쳐진다. 일상의 순간 속에 존재하는 경이로움, 하나의 씨앗과 함께 이어지는 삶의 아름다운 추억들, 인간의 이기심과 폭력적인 시선 속에서 만들어진 기괴한 현실, 그럼에도 여전히 낭만적이고 허세 넘치지만 소중한, 그 따듯한 마음들이 만나는 6개의 이야기. 이번 전시는 지금 우리 현재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리고 앞으로 만나게 될 우리들의 이야기를 기다린다.

*작가노트는 작품배치도 순입니다.
권지현 Kwon Jee Hyun
어제는 매실을 잔뜩 쌓아 설탕에 절이더니, 오늘은 오이를 잔뜩 쌓아 소금에 절인다. 내일은 햇마늘을 손질해서 저장한다던가. 절기에 따라 움직이는 우리네 어르신들 이야기다. 

식물은 기다려주지 않는다. 며칠만 방치해도 상추가 나무처럼 자라고, 과일은 땅에 떨어져 문드러진다. 어르신들이 절기를 몸처럼 입고 사시는 이유겠다. 

대부분의 식재료를 사시사철 쉬이 구할 수 있게 된 우리는 절기를 잊고 산다. 순환의 고마움도 수고로움의 혜택도. 어디 그뿐인가. 지구를 데우고 황폐화하는데 속도를 더하고 있지 않은가. 산불이 빈번해지고, 모기가 3월부터 나타나고, 바다엔 플라스틱 쓰레기가 넘쳐나고. 

김혜순 시인은 “우리는 '자연'이고 몸입니다. 익명적이고, 비분리적이고, 생물인 몸입니다.(< 김혜순의 말 > p.58)”라고 말한다. 
지구와 우리는 한 몸이다. 관계맺으며 공존한다. 새삼스러울 것도 없다. 그런데 왜 스스로를 돌보지 못하게 되었을까. 
쑥은 개척자 식물이라 불리는데, 산불이 나거나 해서 황폐화 된 척박한 땅에 가장 먼저 돌아와 숲을 되살리는데 앞장서기 때문이라고 한다. 대지를 되살리는 특별한 식물이다. 

이야기가 너무 건너뛰었나. 요는 쑥에게 배우자고. 쑥처럼 잘 해보자고. 관심을 갖자는 이야기. 
김형주 Kim Hyung Joo
일본 후쿠시마에서 새로운 종류의 식물(과일, 채소)들의 사진들이 커뮤니티에 올라왔다. 사진 속 식물들의 형태는 변형이 되어 어떤 종류의 식물인지 알 수가 없었고, 새로운 종의 발견이라는 생각과 함께 ‘낯섦’이 주는 공포를 느꼈다. 인터넷 기사와 뉴스에서도 변형된 과일들이 이슈가 되어 취재와 분석이 난무했으며, 과학자들은 인체에 무해성에 대해 토론을 했다. 하지만 애매한 해석으로 혼란과 경각심만을 심어줬으며 과학적 증거 없이, 각자의 주관적 데이터로 이야기하는 것이 전부였다.(베트남전 제초제가 인체무해하다고 판단은 오류였던 것처럼 말이다.) 

일본 매체에서는 무해성을 강조하려고 게스트가 피폭된 과일을 시식하며 안전함을 보여줬다. 공인의 시식 퍼포먼스는 사람들로 하여금 구매하여 먹게 하였으며, 절대적인 믿음으로 현재 상황을 의심없이 받아들이는 자세를 강조했다. 자연 생태계의 혼란에 대한 관심은 없었다.

나는 2011년 3월 16일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피폭되어 변형된 식물을 주제로 자연과 사람의 관계를 들여다 봤다. 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우려보다는 우리의 안위만 생각하는 이기심에 착안하여 조형언어로 표현하였다. 무해하다면 변형된 식물들을 받아들이고 섭취할 수 있는가? 생긴건 혐오스러우나 무해하니 상관이 없는가? 이런 물음은 개인전《어쩔 수 없다(2022년)》에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우리가 먹고 사는 부분에서, 자본주의 시스템의 영향으로 환경보다 개인의 편리로 결정된다는 판단) 현재 겪게 되는 상황을 받아들이고 익숙해지는 방법밖에 없다는 답으로 수렴되고 말았다. 앞으로 세대들이 마주하게 되는 식물들은 환경오염(방사능)으로 살아남은 진화(?)된 모습일 것이라는 가설과 함께, 자연에 대한 인간의 결과물이자, “Harmlessness”라고 명명된 변형식물들을 제시한다.
설수안 Seol suan
영상작업< 씨갑시 ch.2 >는 현재의 산업화된 농업에서 사라진, 농부가 씨앗을 받는 행위를 바라본다. 생명 순환의 기억은 실험실이나 책 속이 아니라 농부의 몸과 작물이 접하는 어딘가에 있다. 

영상작업< 씨갑시 ch. 1 >에서 우리는 신체의 크기가 자신과 비슷해 생명 활동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을 우리와 같은 생명이라고 느낀다. 씨앗의 피부, 심줄을 통해 그들이 품고 있는 생명을 인지했던 것이 씨갑시 농부의 눈이었을 것이다.

*씨갑시는 씨앗을 일부 지역에서 이르는 말이다. 토종 씨앗을 찾고 보급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여러 가지 옛날 씨앗을 보유한 어르신 농부를 이르는 말로도 통용되고 있다. 
송지인 Song  Jee In
우리의 무분별한 도시개발과 소비적인 생활로 자연과 어우러져 살던 많은 생물들의 삶의 터전은 망가져가고 있다. 집을 잃은 생물들은 하나, 둘씩 멸종위기를 맞이하게 되고, 이 순간에도 친구들은 별이 되어가고 있다. 이렇게 위기를 맞은 생물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며 그들의 삶을 만나기 시작하면서 이 작품들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깊은 산속에 살고 있는 광릉요강꽃과 복주머니란, 털복주머니란, 나도풍란을 알게 되면서, 이렇게 멸종위기에 처한 이 식물들이 작은 숲속의 요정처럼 느껴졌다. 개체수가 줄고, 더 이상 살기 힘들어진 그들의 삶에 대해 공감할수록 마음 한 켠에 아련한 아픔이 전해진다. 
최은숙 Choi Eun Sook
집단, 계층의 견고한 외연을 대변하는 사물과 공간을 회화로 다룸으로써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 질문하는 작업을 해왔다. 같은 맥락에서 이번 전시는 일상 속에서 연출되거나 가공된 식물의 모습을 수집하였는데, 의도와 달리 가공된 것은 식물이 아닌 식물에게 부여된 가치임을 인지하였다. 수집된 이미지에 저채도의 색감, 의미를 알 수 없는 도형과의 레이어링 등의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불안, 불편한 화면을 유도하고 식물에게 투영된 사회적, 계층적 의미의 멍에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자 했다.
민경영 Min Kyoung young
견디는 시간. 아주 끙끙 아플 요량이었다. 며칠간 떨어지지 않는 열을 내고, 나의 근육을 찢고 쥐어 짜려고 했다. 몸은 땅에 꺼질 듯이, 정신은 내 몸에서 30cm는 족히 떨어져 나올 정도로 아플 준비가 되어 있었다. 예상치 않았던 호된 시간을 견뎌내었으니 나는 아파야만 했다. 그 찰나 지구가 아프단다. 너무 아프다고 품고 있던 것들을 막 던져냈다. 아프니까 다 싫다고 생떼를 부렸다. 열이 내리나 싶더니 다시 고열을 내며 아프다고 아우성을 쳤다. 이러다 나도 내쳐지면 어쩌나 정신이 번쩍든다. ‘아니… 내가 아플라고 했는데’라고 볼멘 소리를 하려다 생각을 바꾼다. 나만 아픈 줄 알았던 그때, 거대한 존재라고 생각했던 지구가 끙끙 앓아대는 그 모습을 보니 왠지 위안이 된다. 아프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했던 나는 입을 닫는다. 대신 양파를 썰고 감자껍질을 깐다. 할 일을 하는 것이다. 양파가 그랬듯 감자가 그랬듯이. 누군가 아프다고 징징거려도 땅에서 싹을 틔우고 계절을 겪어 스스로를 키워냈다. 나는 그것을 다듬으며 맹세한다. 웃자. 아파도, 슬퍼도, 화가 나도, 미워도. 일단은 웃어보자. 그렇게 견디자. 그렇게 살자. 시간은 그렇게 간다.